동암 구본홍과 나눔의 방

茶山先生 詩 句 본문

한국한시 모음

茶山先生 詩 句

동암 구본홍 2023. 7. 5. 08:06

뻐꾸기 알 그냥 두면 뱁새는 쌔끼 다 잃는다

피음사둔(詖淫邪遁)

“번드르한 말 속에서 본질을 간파해야 한다”

견미이지맹 견단이지말(見微以知萌 見端以知末)

“아주 작은 싹을 보고도 사태의 흐름을 알고

사태의 실마리를 보고 그 결과를 알아야 한다

茶山先生 詩 句

 

書憶曾抽卷 松憐舊倚枝

서억증추권 송련구의지

 

남쪽 고을 수레를 따라가는 날 / 南縣隨車日

동산에 이별 술잔 기울이는 때 / 東岡飮餞時

먼 여행 즐겁지 않을까마는 / 遠游非不快

오랜 이별 그리움 어찌 견딜꼬 / 久別奈相思

일찍이 보던 서책 어른거리고 / 書憶曾抽卷

전에 기댄 소나무 생각나겠지 / 松憐舊倚枝

호시의 뜻을 살려 길을 떠나세 / 行哉弧矢志

민간의 풍속 또한 두루 알아야 / 謠俗合周知

 

東坡先生 詩

 

人有悲歡离合 月有陰晴圆缺

인유비환리합 월유음청원결

사람에게는 슬픔과 기쁨, 이별과 만남이 있고

달에는 흐림과 맑음, 차고 이즈러짐이 있다

 

心淸師白水

심청사백수

言重學靑山

언중학청산

 

마음이 깨끗함은 맑은 물을 스승삼음이요,

말이 무거움은 푸른 산에서 배우도다.

 

三峰선생 시

정도전이 김거사 거처를 찾아가다가

訪金居士野居(방김거사야거)

 

秋陰漠漠四山空 落葉無聲滿地紅

추음막막사산공 낙엽무성만지홍

立馬溪橋問歸路 不知身在畵圖中

입마계교문귀로 부지신재화도중

 

가을 그늘은 넓게 드리우고 온통 산은 비었는데

소리 없이 떨어진 낙엽이 땅을 붉게 물들였네.

시냇가 다리에 말을 세우고 돌아갈 길 물으면서도

내가 있는 곳이 그림 속인 것을 알지 못했네.

 

오언율시(五言律詩)

견탄(犬灘 개여울) 이규보(李奎報)

 

淸曉泛龍浦 黃昏泊犬灘

청효범용포 황혼박견탄

黠雲欺落日 狠石捍狂瀾

힐운기낙일 한석한광란

水國秋先冷 船亭夜更寒

수국추선냉 선정야갱한

江山眞勝畫 莫作畫屛看

강산진승화 막작화병간

 

첫 새벽에 용포(龍浦)를 떠나 / 淸曉發龍浦

황혼에 개여울에 대었네 / 黃昏泊犬灘

간교한 구름이 지는 해를 놀려대고 / 黠雲欺落日

험상궂은 돌이 미친 물살을 막는구나 / 狠石捍狂瀾

수국에 가을이 먼저 서늘하고 / 水國秋先冷

선정은 밤에 더 차네 / 船亭夜更寒

강산이 참으로 그림보다 나으니 / 江山眞勝畫

혹시나 그림이라 보지 마소 / 莫作畫圖看

 

益齊선생 시(금山寺)

 

忘機鷺宿鐘聲裏 聽法龍蟠㙮影間

망기로숙종성리 청법용반탑영간

 

세상을 잊은 듯한 해오라기 종소리에 잠들었는데

탑 위에 서린 용은 경외는 소리 듣는가 봐

 

林無靜樹川無停流

 

숲속에는 고요한 나무가 없고,

흐르는 물에는 멈춰선 물줄기가 없다.

 

後八景  前人詩紫洞尋僧

 

傍石過淸淺 穿林上翠微

방석과청천 천림상취미

逢人何更問僧扉 午梵出煙霏

봉인하갱문승비 오범출연비

草露霑芒屨 松花點葛衣

초로점망구 송화점갈의

鬢絲禪榻坐忘機 山鳥謾催歸

빈사선탑좌망기 산조만최귀

 

자하동으로 중을 찾아가다紫洞尋僧

 

돌 곁 맑고 얕은 물을 건너 傍石過淸淺
수풀을 뚫고 산에 올라 / 穿林上翠微
사람을 만났으니 어찌 다시 중의 집을 묻겠나 / 逢人何更問僧扉
오시의 불공 소리가 안개 날리는 데서 울려 나온다 / 午梵出煙霏

풀이슬이 짚신 적시고 / 草露霑芒屨
송화 가루가 갈포 옷에 점을 찍었다 / 松花點葛衣
귀밑머리 하얘가지고 선탑에서 세상일 잊고 앉아 있는데 / 鬢絲禪榻坐忘機
산새는 마구 돌아가길 재촉한다 / 山鳥謾催歸

 

'한국한시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退溪先生 詩  (0) 2023.07.07
梅溪 曺偉(조위) 先生詩외 다수  (0) 2023.07.07
劉禹錫《陋室銘》에서  (0) 2023.07.05
崔忠최충선생시  (0) 2023.07.05
농암(農巖)임하필기(林下筆記) 외  (0) 2023.07.05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