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암 구본홍과 나눔의 방
劉禹錫《陋室銘》에서 본문
劉禹錫 《陋室銘》에서 |
|
劉禹錫《陋室銘》에서 | |
山不在高 有僊則名 水不在沈 有龍則靈 | |
산불재고 유선칙명 수불재심 유룡칙령 | |
斯是陋室 惟吾德馨 苔痕上階綠 草色入簾靑 | |
사시루실 유오덕형 태흔상계녹 초색입렴청 | |
談笑有鴻儒 往來無白丁 可以調素琴 閱金經 | |
담소유홀유 황래무백정 가이조소금 열금경 | |
無絲竹之亂耳 無案牘之勞形 南陽諸葛廬 | |
무사죽지난이 무안독지로형 남양제갈려 | |
西蜀子雲亭 孔子云 何陋之有 | |
서촉자운정 공자운 하루지유 | |
釋文】 | |
산은 높다고 산이 아니라 신선이 있어야 산이요 | |
물은 깊다고 물이 아니라 용이 있어야 물이다 | |
고로 이 누추한 집은 오직 나의 덕이 있어야 항기롭다. | |
이끼는 계단을 따라 푸르게 돋아 나오고, | |
푸른 풀빛은 주렴 사이로 스며든다 | |
담소할 훌륭한 선비들 빈번하게 출입하나, | |
서민(báidīng)들 왕래는 거의 없다. | |
성긴 거문고 고르며 경서 읽을 수 있고 | |
관현악 소리에 귀를 어지럽힐 일 없다. | |
편지나 공문서 읽을 일 없으니 몸 수고로울 일 또한 없어 | |
이곳이 남양의 제갈량 초옥이나 서촉 楊雄의 정자 아니랴? | |
雪滿花閒鳴 | |
설滿만花화閒한鳴명 | |
耽羅人說小江南 君上蘭橈興已酣 | |
탐라인세소강남 군상란요흥이감 | |
雪滿花間鳴翠鳥 霜深蘺落熟黃柑 | |
설만화간명취조 상심리락숙황감 | |
雲開蓬島鼇岑近 日出扶桑海氣涵 | |
운개봉도오령근 일출부상해기함 | |
珍重布帆無恙去 歸來燈火共淸談 | |
진중포범무양거 귀래등화공청담 | |
탐라인들은 그 고장을 소강남이라 하거니 / 耽羅人說小江南 | |
그대 거룻배에 오르면 흥취가 무르녹겠네 / 君上蘭橈興已酣 | |
눈 가득한 꽃 사이엔 비취새가 울어대고 / 雪滿花間鳴翠鳥 | |
서리 깊은 울타리엔 귤이 노랗게 익겠지 / 霜深蘺落熟黃柑 | |
구름 걷힌 봉래도는 오잠과 서로 근접하고 / 雲開蓬島鼇岑近 | |
해는 동방에서 나와 바다 기운에 푹 잠기리 / 日出扶桑海氣涵 | |
진중하여 순풍에 돛 달고 무사히 갔다가 / 珍重布帆無恙去 | |
돌아오거든 등잔 아래서 청담을 나누세나 / 歸來燈火共淸談 | |
無欲速 無見小利 | |
무욕속 무견소리 | |
欲速則不達 見小利則大事不成 | |
욕속즉부달 견소리즉대사불성 | |
서두르지 말며 작은 이익에 눈을 팔지 말라. | |
서두르면 성공하지 못하고, | |
작은 이익에 눈을 팔면 큰일을 이루지 못한다. | |
金屑雖貴落眼成 | |
금설수귀락안성예 | |
금가루가 아무리 귀하다고 해도 | |
눈에 들어가면 병이 된다 |
'한국한시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梅溪 曺偉(조위) 先生詩외 다수 (0) | 2023.07.07 |
---|---|
茶山先生 詩 句 (0) | 2023.07.05 |
崔忠최충선생시 (0) | 2023.07.05 |
농암(農巖)임하필기(林下筆記) 외 (0) | 2023.07.05 |
紅蠶集二(낙엽시) (0) | 2023.07.05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