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암 구본홍과 나눔의 방
漁謳어구 본문
漁謳어구
漁謳어구 (노래 할 구)
睦萬中先生 詩 1727~1810 열 네살 때 썼다(목만중선생 시)
夜來風雨惡 야래풍우악
繫纜依江阿 계람의강아
鄰舟不知遠 인주부지원
蘆花深處起漁歌 노화심처기어가
移舟相近爲相問 이주상근위상문
爲言得魚苦無多 위언득어고무다
朝來官府催身役 조래관부최신역
得魚無多可奈何 득어무다가내하
어부가
지난밤 비바람이 사나워
닻줄을 강 언덕에 묶어 놓았네.
옆에 있었던 배가 근처에 있나 보다
갈대꽃 깊숙한 곳에서 어부가(漁父歌) 들려온다.
배를 저어 다가가서 말 좀 물어보자.
"물고기가 참말로 많이 안 잡히네.
아침 되면 관가에서 신역(身役)을 독촉할 텐데
물고기를 잡지 못해 어쩐다나?“
삼국 위 조식 칠보시 三国 魏 曹植 七步诗
자두지작갱 - 칠보시 煮豆持作羹 - 七步诗
사가집四佳集
서거정(徐居正)
煮豆持作羹 漉菽以为汁
자두지작갱 녹숙이위즙
萁在釜下燃 豆在釜中泣
기재부하연 두재부중읍
本自同根生 相煎何太急
본자동근생 상전하태급
콩을 삶아 국을 끓이고, 콩을 걸러 즙을 짜내고,
콩대를 태워 솥 아래서 연기가 나고,
콩이 솥 안에서 익어 가니, 본디 같은 뿌리에서 커왔건만,
마주보고 어찌 맘 편하고 맘 졸이겠는가 ?1)
七步詩(칠보 시) : 이 시는 『세설신어(世說新語)』에 의하면,
조조(曹操)의 뒤를 이은 문제(文帝) 조비(曹丕)가
동생 조식(曹植)에게 일곱 걸음 안에 시를 지어내지
못하면 처형하겠다고 엄포를 놓는 바람에
지은 시라고 한다. 그래서 그런지
형제간의 갈등을 호소하고 있다.
2) 煮(자) : 삶다. 익히다.
※ 자두연두기(煮豆燃豆萁) :
콩을 삶는 데 콩대를 땔감으로 함.
콩과 콩대는 같은 뿌리에서 자라난 것이면서 서로를 해친다는 뜻으로,
‘형제가 서로 다툼'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자두연기(煮豆燃萁)’라고도 한다.
조식의「칠보 시」에서 나온 말이다
.3) 羹(갱) : 국. 국물.4) 漉(녹) :
거르다. 밭다. 앙금을 치다.
※ 녹주(漉酒) : 술을 거르다.
5) 豉(시) : 메주․된장 따위.
※ 콩을 띄워 소금을 넣어 만든 조미료.6) 萁(기) :
콩깍지. 콩대. 콩을 떨궈낸 줄기와 가지.
※ 기두(萁豆) : 콩깍지와 콩.
‘형제’를 이름. 조식의「칠보 시」에서 온 말.
7) 釜(부) : 가마. 발 없는 큰 솥. 솥의 범칭
.8) 然(연) : 여기에서는 ‘태우다’는 뜻의 ‘연(燃)’과 같은 의미로 쓰였다
.9) 本是(본시) : 본디. 본래.
10) 同根(동근) : 근본(根本)이 동일함. 그 자라난 뿌리가 동일함. 형제(兄弟).
11) 煎(전) : ① 달이다. 졸이다. ② 전. 기름에 지진 음식.12) 太急(태급) : 썩 급함.
'한국한시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반야바라밀경 (1) | 2023.07.09 |
---|---|
茶山선생 시 상고대 (0) | 2023.07.07 |
쌍백당(雙柏堂) 임광택(林光澤·1714~1799) (0) | 2023.07.07 |
이곡선생 시 외 다수 (0) | 2023.07.07 |
고사성어 (0) | 2023.07.07 |